현대인의 건강은 80% 정도가 아건강 상태라고 해요.
아건강이란?
건강과 질병의 중간에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특별히 아픈 곳은 없는데 늘 피곤하고
몸이 아파 병원서 이것저것 검사해봐도 이상 없다 하고
굶어도 살이 찌고 살을 빼고 싶어도 빠지지 않고
매사에 의욕도 없고 삶이 재미없는 상태로
하루 하루를 활력없이 살아가는 것을 말합니다.
오늘은 아건강에서 벗어나는 이야기를 해보려고 해요.
옛말에 잘 먹고 잘 자고 잘 싸면 건강하다는 말이 있었어요.
왜 과거형이냐고요?
넘쳐나는 의학적 정보들로 옛말에 비중이 약해지고 있거든요.
실제로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은 참 간단한데
단편적인 지식정보로 인해 너무 복잡해지고 있는 것 같아요.
우리 몸은 들어온 것이 있으면 배출을 시켜야 하고
활동 후에는 휴식이 필요한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있어요.
그러나 요즘 우리들의 생활을 보면
몸의 시스템에 반항하는 삶을 살고 있지 않나?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잘 먹고 계신가요?
우리 몸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미네랄), 물의
영양소가 조화롭게 배합이 되어야 하는데 어떠신가요?
최근 방송을 보면 먹는 프로그램이 정말 정말 많아요.
먹거리가 넘쳐나는 세상에 살고 있지요.
그럼에도 우리의 건강은 썩 좋은 편이 아닙니다.
이유는 편식과 외식, 간편하고 빠른 것을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하루에 먹은 음식과 어디에서 먹었는지를 적어보면 깜짝 놀라실거예요.
골고루 먹었을 것 같지만 엄청나게 편식을 하고 있고
집밥보다 밖에서 먹는 식사가 더 많고
패스트푸드, 인스턴트 식품을 얼마나 즐기고 있는지 말이죠.
우리가 지금 먹는 음식물 속에서 몸에 필요한 영양소 찾기가
너무 힘들어지고 있어 늘 피곤한 상태가 되고 있다면...?
잘 먹는다는 의미는 몸에 이로운 것을 먹는다는 것입니다.
잘 자고 계신가요?
우리 몸은 밤 9시부터 새벽 5시까지 시스템 점검을 하게 됩니다.
시스템 점검시 모든 업무가 중단 된다는거 아시죠?
우리 몸도 시스템 점검을 할 땐 업무를 중단해야 하는데
실제 그렇지 못해요.
늦은 밤 시간에 먹고 행복해 하면서 잠이 들고
늦은 시간까지 일을 하거나 새벽까지 음주를 하기도 하고
충분한 수면을 하지 않고 수면에 적합한 환경이 아닌 곳에서 생활하고 있지요.
시스템 점검을 해야하는데 일거리를 계속 주니까 점검을 하지 못하고
계속 일을 해야하는 상황이 되고 반복되면 결국은 멈추게 되는 것이 질병입니다.
잘 자려면 밤 10시경 잠자리에 들고 아침 5~6시에 일어나고
잠자리 주변은 가능한 가장 어둡게 하고
전자기기들을 최대한 멀리 두는 것이 좋으며
너무 푹신한 침대보다는 살짝 단단한 침대가 좋고
아주 가벼운 이불보다는 살짝 무게감이 있는 이불을 덮고 자면
안정감있게 깊은 잠을 잘 수 있답니다.
잘 싸고 있으신가요?
생각보다 변비를 갖고 있는 분들이 많더군요.
우리 대장은 새벽 4~6시 사이에 가장 활발히 움직이게 되어 있어요.
그런데 우리는 이 시간에 무엇을 하고 있을까요?
대장은 지난 하루 동안 섭취한 음식물 찌꺼기를
체외로 배출시켜고 다시 쌓아두는 일을 하는 곳입니다.
뭐가 문제인지 대장이 심통을 부리는 것이 변비이죠.
쓰레기를 버리지 않고 계속 쌓아두면 어떻게 될까요?
대장 속 찌꺼기를 버리지 않으면 독소가 발생하게 돼요.
독소는 몸으로 재흡수되어 세포를 자극하면 암으로 변하게 되지요.
하루 한 번 배변으로 비워야 건강해진답니다.
하루에 물을 얼마나 마시고 계신가요?
최소 1,500ml 이상을 마셔야 합니다.
그리고 식이섬유를 충분히 먹고 계신가요.
하루 식이섬유 권장량은 성인 기준 30g 이상 입니다.
식이섬유 30g을 섭취하려면 양배추를 하루에 1.4kg을 드셔야 해요.
식이섬유를 먹어야 하는 이유는 유산균의 먹이이기 때문이예요.
좋은 유산균을 먹어도 장에 식이섬유가 적으면 유산균은 살 수가 없거든요.
좋은 유산균에 풍부한 식이섬유를 드셔서 장건강을 관리해주세요.
'건강관리 > 질병 없는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관리는 지금부터 하자 (1) | 2024.09.05 |
---|---|
편도결석 (0) | 2020.01.11 |
미세먼지 제거하는 수소수 (0) | 2019.02.27 |
뽕잎의 효능 (0) | 2019.02.25 |
암에 걸리지 않고 장수하는 30가지 습관 (0) | 2019.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