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질병 없는 삶

동충하초

동충하초 발효추출물의 임상효과

 --의사 학회지에 기제된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병명 치료율(%)       복용일수
 성기능저하     64.1%       7주
 심장병      90.5%       4주
 고혈압 76.2%  2~8주
 폐병       80.0%       8주
 간경화 68.0%   12주
 B형간염 78.5%   8주
 악성암  93.0%   8주
 기관지염 94.2%  8주
 당뇨  86.9%   4~8주
 혈소판감소증  89.8%   4~8주
 백혈병 85.7%  4~8주
 비염  93.0%   4주
 이명 90.0%  4주 
 류마티스관절염    82.0%       8주

 

 

 

 

 

 

 

 

 

 

 

 

 

 

 

 

 

 

 

 

 

 

우리나라에 동충하초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된것은 1997년 경부터이니까 불과 몇 년밖에

되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에게 알려진 동충하초는

중국 고대로부터 사용되어 왔고 세계적으로

인정되어 유통되고 있는 동충하초(Cordyceps)와는

거리가 먼 사상균속(Poecilomyces)이

우리나라에서는 옛부터 사용되어 왔다.

세계적으로 발표된 학술논문을 참고하여 동충하초에 대한 설명을 하자면

넓은 의미로의 동충하초와 좁은 의미로의 동충하초로 분류할 수 있다. 

 

1. 넒은 의미의 동충하초(750여종류)

  넓은 범위의 동충하초란 각종 곤충균에서 자라는 버섯을 총칭하여 동충하초라고 말한다. 

  하지만 각각의 균(곡식의 씨앗)마다 유전적 특성(유성생식, 무성생식)이 다르기 때문에 

  균분류학자들에 의해 그 특성에 따라서 100여가지로 균의 특성을 분류하게 된다.   

  균의 분류 : 코디셉스 속균(Cordyceps sp) = 동충하초 속균,

            패실로마이세스 속균(Poecilomyces sp) = 사상균 속

            아사리아 속균(Isaria sp) 등 100여 속균이 있다. 

   따라서 동충하초 속균으로 알려진 유성생식을 하는 속균이나, 사상균속으로 알려진 무성생식을 

   하는 패실로마이세스 속균 등 각종 곤충군에서 자라고 있는 100여속에 포함되는 모든 균에

   해당되는 750여 종류의 동충하초를 넓은 의미로서 동충하초라고 부른다.

   즉, 동충하초 속균에 속하는 밀리타리스(Militaris), 시넨시스(Sinensis)

   노린제(Nutons), 벌동충하초(Sphecocephoio) 등과

   사상균속에 속하는 눈꽃(누에)동충하초(Poecilomyces tenuipes = Joponico) 등

   각종 곤충에서 나오는 모든 종류의 버섯을 총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총충하초 중에서 대다수를 점유하고 있는 

진흥청 잠사곤충부에서 개발하여 농가에 보급한

사사균 속에 속하며,   

무성생식을 하는 불완전균류에 해당하는

눈꽃누에동충하초도 동충하초라고 부른다.

 

 

**용어풀이 : 유성생식(음,양의 결합에 의하여 생식하는 완전균류)

            무성생식(음.양의 결합에 의하지 않고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번식하는 불완전균류)

 

2. 좁은 의미의 동충하초(300여 종류)

   좁은 의미의 동충하초란 균분류(100여속균)학상 유성생식을 하는 완전균류인

   코디셉스(Cordyceps sp) 속균에 속하는 300여 종류 만을 동충하초라고 부르는 것이다.

   즉, 동충하초 = 코디셉스란 등식이 성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학명이 코디셉스 속에 속하는 것만은 동충하초라는 이름으로 인정하고 있다.  

동충하초는 귀중한 중약재입니다.

동충하초의 생장은 아주 특이합니다.

충초의 진균이 기생충인 나방충에 감염되여

경직되고 죽어 버립니다.

봄과 여름에 자유충 머리에 초경이 생겨나서

충균 복합체를 이룹니다.

동충하초의 외형은 머리에 초경이 자란 누예고치와

같습니다. (진균유충복합체)

초경은 짙은 황색인데 충체는 붉은 회색이나 짙은 갈색입니다. 초경의 길이는 2 , 8미리미터입니다.

충체의 길이는 3, 6미리미터이고 직경은 0.3내지 0.7미리미터입니다.

표면에는 밀집된 환문(環紋)이 있고 몸체 밑에는 8쌍의 발이 있는데 중간 4쌍 발이

비교적 선명합니다.

몸체가 바삭바삭하기 때문에 굽히면

끊어지는데 끊어진 부분은 젖빛 백색이나

황백색 섬유상입니다.

초버섯이나 향버섯의 향기가 나며

연한 단맛이나고 찐득찐득합니다.

동충하초는 생산량이 적고 가격이

비싸며 가짜가 비교적 많습니다.

 

자세히 관찰한다면 식별하기 쉽습니다.

초경과 충체가 분리되고 충체에 발이 없거나 3쌍이하이며 발부위에 짙은 회색 가는 털이나

뿌리가 나고 가루 석고 맛이 나는 것은 가능하게 위조한 것입니다.

동충하초는 몸을 건강하게 해주며 장수하게 합니다. 기를 돕고 혈지를 낮추며

항균해독하며 신경을 안정시키고 면역력을 조절하며 가래를 없애주고

항암작용을 하며 심혈관, 혈액, 간, 신장 기능을 증강시켜 줍니다.

노인들이 허약하거나 가래가 많고 숨이차며 식은 땀이나고 정역이 부족하며 허리가 시큼시큼하고

병환으로 허약한 뒤에 잘 쓰입니다.

동충하초는 일년 사계절 어느때든 복용 할 수 있습니다. 겨울에 먹으면 효과가 더 좋습니다.

보통 끓여 먹는데 3그람이나 10그람을 복용합니다.

환을 짓거나 가루내거나 술에 담그거나 국을 끓이는 것도 있고 죽을 만들어 먹는 방법도 있습니다.

차입쌀 50그람에 얼음사탕 적당량을 사기가마에 넣어 물을 붓고 죽을 만들고

동충하초 5그람을 가루내여 죽에 한데 섞어 조금 끓여서 복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무튼 어떤 방법을 쓰던지 먹기만 하면 다 효력을 보게 됩니다. 

 

클릭 -> 건강상담

'건강관리 > 질병 없는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반증이란?  (0) 2011.10.12
노안현상이 40대부터 나타난다  (0) 2011.10.05
동충하초  (0) 2011.09.28
심혈관계를 보호해주는 산화질소  (0) 2011.09.24
내장지방을 줄이자   (0) 2011.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