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피부 사용설명서

피부의 구조 - 진피층과 피하지방 < 피부의 구조 > ** 진피층 ** 표피 아래에 있는 조밀한 결합조직의 층으로 단백질의 일종인 교원섬유와 탄력섬유의 두종류의 섬유가 그물모양으로 짜여져 있어 피부를 지탱해주는 대들보 역할을 한다. 세포와 섬유사이에는 기질이라고 하는 수분을 비롯한 단백질, 당질, 무코 다당류, 무기염류 등 .. 더보기
피부의 구조 표피층 < 피부의 구조> 피부를 해부하여 그 단면을 보면 (1) 표피 (2)) 진피 (3) 피하조직의 3개층으로 나뉜다. 표피는 피부의 가장 바깥쪽 층으로 신체의 보호막을 형성하고, 혈관은 없으나 작은 신경의 말단을 많이 가지고 있다. 진피는 그 밑의 층으로 순수한 피부라고 불리고 혈관층이 들어.. 더보기
피부의 기능 - 감각기능과 기타 기능 < 피부의 기능 > ** 감각기능 ** - 피부에는 주변환경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신경의 말단이 많이 들어있는데 외부로부터의 자극은 이들 신경말단을 통해 받아드여져, 뇌에 전해짐으로써 촉각, 압, 온각, 냉각, 통각 등으로 되어 나타난다. ** 기타 작용 ** 1) 비타민 D 형성작용 - 피부내에는 비타민 D의 .. 더보기
피부의 기능 - 흡수기능 <피부의 기능> ** (제한된) 흡수기능 ** - 생리학에서 흡수가 주는 의미는 "우기체 외부에 있는 물질이 유기체에 어떠한 고통도 주지 않고 침투하게 되는 활동" 이다. - 구체적으로 화장품의 유효성분들이 피부에 흡수된다 함은 그 성분들이 표피의 각질층을 뚫고 들어가 표피층을 거쳐 진피층의 혈.. 더보기
피부의 기능- 배설 및 분비기능과 체온조절기능 <피부의 기능> ** 배설 및 분비기능 ** - 아름다운 피부의 주요 조건인 윤택함, 매끄러움은 피부의 외분비 작용 때문이다. - 피부의 부속기관인 한선의 한관을 통해 분비되는 땀은 체내의 노폐물과 독소를 동반하여 배설되므로 신장을 보호하고 체운을 조절하며 피부표면의 습,산도를 유지한다. - 피.. 더보기
피부의 기능 -보호기능 < 피부의 기능 > 인체 겉표면에서 직접 외계에 접하고 있는 피부는 끊임없는 여러가지 자극에 대하여 인체를 보호하고, 또한 자극을 받아들여서 주위의 변화에 순응토록 한다. 이와 같은 피부의 작용은 완전히 독립된 것이 아니고 항상 신체의 내부의 작용과 연결되어 있다. 피부의 기능을 보호, .. 더보기
기타 문제성 피부 < 지루 Seborrhea > 지루는 라틴어의 'Sebum(피지)' 과 희랍어의 'rein(흐르다)' 에서 유래된 말로 피지선의 작용이 지나치게 활발해서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거나 분비의 방해를 받아 피부에 지방막이나 딱딱하게 표피를 형성하거나 비늘처럼 각질이 일어나는 등의 특징을 보이는 피지선의 기능상 질병.. 더보기
접촉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일반적으로 어떤 물질이 피부에 접촉하여 생기는 피부의 염증이다. 1차와 2차의 두가지 접촉 피부염으로 분류한다. 1) 1차 자극성 피부염 - 강한 자극 물질에 접촉한 경우 생기는 피부염으로 누구에게나 발생하면 인체에 인지도지 않는다. ( 강산, 강알칼리, 유기용제, 윤활유, 식물독, 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