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즐거움/정보 나누기

입학사정관제

대학이 입학업무만 담당하는 전문가인 ‘입학사정관’을 채용하여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이다.

이에 입학사정관은 학생부 등 계량적인 성적뿐 아니라 개인의 환경, 특기, 대인관계, 논리력,

창의력 등 잠재력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해 합격 여부를 가린다.

 

도입배경

- 지금까지 대학들은 학생부·수능시험·대학별고사 등 성적 위주로 학생을 선발해 왔습니다.

   그러다보니 초·중등학교에서는 지나친 점수 경쟁을 초래했고, 대학 입장에서는 대학이나 모집단위의

   특성에 맞는 잠재력과 소질을 가진 학생을 선발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었습니다.

 

- 따라서 대학의 학생선발 권한을 확대하고, 초·중등교육 정상화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입전형의 자율화·특성화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지원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목적

- 성적 위주의 획일적 선발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의 잠재력, 대학의 설립이념 및 모집단위 특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선발 방식으로 개편

- 학교생활기록부, 수능 성적, 각종 서류 등 다양한 전형요소를 해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대입전형

   전문가 활용체제 구축